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벌꿀오소리가 되고싶은

AWS Certified Developer - Associate 정리 - 기본 용어 본문

개발/AWS

AWS Certified Developer - Associate 정리 - 기본 용어

허니배져 2023. 9. 24. 14:30

고가용성

  • 오류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복구하고 가동중지를 최소화하는 것
  • 서버가 지속적으로 정상운영이 가능한 성질
  • 복구를 위한 약간의 장애시간을 포함함
  • 관련 서비스
    • ELB: 응답 지연시간이 길거나 서버과부하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를 발생시켜 동작
    • EIP: 인스턴스가 실패하더라도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고정 IP 부여
    • Route53: 단순 라우팅, 지연 시간에 따른 라우팅, 서버 health check, DNS 장애조치
    • Auto Scaling
    • CloudWhatch
    • 다중 AZ

내결함성/장애내구성

  •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기능
  • 일부구성요소의 장애상황에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
  • 예를 들어 장애가 발생했을 때 다른 AZ로 연결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우회해서 해결하는 능력
  • 장애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아키텍처 구성
  • 관련 서비스
    • SQS: 내결함성 애플리케이션의 백본으로 사용, 분산 메세지 시스템, 대기열 사용
    • S3: 내구성과 내결함성이 뛰어난 데이터 스토리지. 리전 내 여러 시설에 데이터를 중복 저장
    • RDS: 자동백업, 스냅샷, 여러 가용 영역

고가용성 vs 내결함성(장애내구성)

  • 고가용성: 장애가 생기면 빨리 고치고 서비스 지속
  • 내결함성: 장애가 생기면 우회하여 서비스 지속
  • 고가용성 내결함성은 모두 충족하면 좋겠지만 상황에따라 우선적으로 충족하거나 모두 충족해야함
    • ex) 스페어 타이어 → 고가용성 ⭕ 장애내구성 ❌
    • ex) 비행기 → 고가용성 ⭕ 장애내구성 ⭕ 하나 터져도 됨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