벌꿀오소리가 되고싶은
AWS Certified Developer - Associate 정리 - 기본 용어 본문
고가용성
- 오류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복구하고 가동중지를 최소화하는 것
- 서버가 지속적으로 정상운영이 가능한 성질
- 복구를 위한 약간의 장애시간을 포함함
- 관련 서비스
- ELB: 응답 지연시간이 길거나 서버과부하가 발생했을 때 트리거를 발생시켜 동작
- EIP: 인스턴스가 실패하더라도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고정 IP 부여
- Route53: 단순 라우팅, 지연 시간에 따른 라우팅, 서버 health check, DNS 장애조치
- Auto Scaling
- CloudWhatch
- 다중 AZ
내결함성/장애내구성
-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기능
- 일부구성요소의 장애상황에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
- 예를 들어 장애가 발생했을 때 다른 AZ로 연결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우회해서 해결하는 능력
- 장애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아키텍처 구성
- 관련 서비스
- SQS: 내결함성 애플리케이션의 백본으로 사용, 분산 메세지 시스템, 대기열 사용
- S3: 내구성과 내결함성이 뛰어난 데이터 스토리지. 리전 내 여러 시설에 데이터를 중복 저장
- RDS: 자동백업, 스냅샷, 여러 가용 영역
고가용성 vs 내결함성(장애내구성)
- 고가용성: 장애가 생기면 빨리 고치고 서비스 지속
- 내결함성: 장애가 생기면 우회하여 서비스 지속
- 고가용성 내결함성은 모두 충족하면 좋겠지만 상황에따라 우선적으로 충족하거나 모두 충족해야함
- ex) 스페어 타이어 → 고가용성 ⭕ 장애내구성 ❌
- ex) 비행기 → 고가용성 ⭕ 장애내구성 ⭕ 하나 터져도 됨
'개발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Certified Developer - Associate 정리 - KMS (1) | 2023.09.24 |
---|---|
AWS Certified Developer - Associate 정리 - Cloud Formation (0) | 2023.09.24 |
AWS Certified Developer - Associate 정리 - EC2 (0) | 2023.09.24 |
AWS Certified Developer - Associate 정리 - 비용 (0) | 2023.09.24 |
AWS Certified Developer - Associate 정리 - IAM (0) | 2023.09.24 |
Comments